[코딩 테스트 연습 입문] 369게임

2022. 12. 27. 11:24code/[프로그래머스] python

문제

머쓱이는 친구들과 369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369게임은 1부터 숫자를 하나씩 대며 3, 6, 9가 들어가는 숫자는 숫자 대신 3, 6, 9의 개수만큼 박수를 치는 게임입니다. 머쓱이가 말해야하는 숫자 ord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머쓱이가 쳐야할 박수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1 ≤ order ≤ 1,000,000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3은 3이 1개 있으므로 1을 출력합니다.

입출력 예 #2

  • 29423은 3이 1개, 9가 1개 있으므로 2를 출력합니다.

 

✔풀이

def solution(order):
    answer = 0
    
    clap=[3,6,9]
    order=str(order)
    
    for number in order:
        if int(number) in clap:
            answer+=1
            
    return answer

📝설명

order의 숫자를 아예 하나하나씩 쪼갠 후, for문에 넣어서 369가 들어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answer에 1을 계속해서 더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우선 박수를 쳐야 하는 3,6,9를 리스트 clap으로 정의하고, for문에 order을 그냥 돌리면 type이 int인 걸 돌리겠다고 하는 거라서 에러가 뜬다.

따라서, order을 str(order)로 만들어서 문자열로 만들었다.

for문에 order을 반복하면서, order에서의 순서대로 나올 number의 type이 현재로서는 str이지만, 우리는 숫자로 바꿔야하니까?! int()로 다시 씌운 후, 리스트 clap의 구성요소와 비교한다.

이때, clap에 있다면, answer에 1을 더하게 한다.

개선한다면?

count를 활용하여 등장 횟수 계산

 

👑모범 답안

🔎map(적용할 함수, 반복 가능한 자료) 은 한 줄의 코딩으로 모든 자료형 각각에 함수를 적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서는 적용할 함수로 lambda x : str(order).count(str(x))이고, 반복범위는 [3,6,9]가 된다.

즉, order을 문자열로 변환한 str(order)에 .count(str(x))를 사용한다. 여기서 x는 [3,6,9] !!

반복되면서 3 6 9가 각자 카운팅된 수가 나올 거고, 그걸 map과 sum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낸다.

 

👀느낀 점

: map()의 기능이 상당히 생소하지만, 익혀가면서 발전해나갈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