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프로그래머스] python

[코딩테스트 연습] K번째 수

오리는짹짹 2023. 1. 3. 17:47

문제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1.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2.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3.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풀이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i,j,k in commands:
        new_array=array[i-1:j]
        new_array.sort()
        answer.append(new_array[k-1])
        
    return answer

📝설명

array에서 commoands에 있는 리스트에 맞게 결과를 도출해내야한다.

array의 i번째부터 j번째까지 다 담은 리스트를 순서대로 정렬한 후, k번째의 원소들을 모아둔 것을 return해야 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commands에서 말하는 i,j,k가 인덱스 번호를 뜻하는게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i번째부터 자르려면 인덱스 번호로는 i-1부터 잘라야 하고, j번째 수까지 데려오려면 j까지 하면 된다.

그렇게 잘라온 배열을 sort()를 통해 순서대로 정렬한다.

k번째의 숫자가 return되는 원소 중 하나인데,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한 결과를 return해야 하므로, 리스트 answer 결과들을 누적할 것이다.

따라서 k번째인 숫자는 인덱스 번호로는 k-1번째이므로, 새롭게 만든 배열에서 인덱스 번호가 k-1인 숫자를 answer에 추가하면 된다.

 

👑모범 답안

 

👀느낀 점

: 쩝.. 잘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map도 정복해야 한다. 아좌좌..~

 

💻 문제 출처

코딩테스트 연습 - K번째수 | 프로그래머스 스쿨 (programmers.co.kr)